 |
 |
인터넷 트랜드를 이해하고 분석한다는 것은 특정 웹사이트의 각종 데이터를 시간의 순서(주별, 월별)로 살펴보고, 그 추이를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물론, 현상적 지표에 대한 원인을 찾는 것도 포함되며, 이 ‘인터넷 트랜드’에 대한 이해를 통해 각종 사이트의 웹/마케팅 기획이 가능하게 됩니다. 이 트랜드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지표로는 트래픽 지표 (순위, 방문자, 페이지뷰)를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가령 2005년 하반기 마케팅 계획을 세운다고 가정하면, 2004년 하반기의 에 대한 분석을 통해
→ 몇 월에 데이터가 상승 또는 감소했는지를 파악해 시즌별 특성을 알아낼 수 있고, → 각 시기마다 행해졌던 이벤트를 함께 연계하여 해당 시기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평가를 할 수도 있으며, → 랭키닷컴의 경쟁사 분석을 이용하면 업계 전체의 동향과 특정 경쟁사의 트랜드도 함께 알 수 있습니다.
|
 |
| 자사와 경쟁사의 순위 지표의 변동을 통해 자사 웹사이트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경쟁사의 데이터 추이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체계적인 마케팅 활동을 준비할 수 있습니다.
|  | → 전반적인 관련 업계 트랜드 (자사+경쟁사) → 업체별 성장 속도 (포지션) → 벤치마킹 대상 업체 선정 |
|  | |  | [분석1] 2005년 1월에 보였던 순위 격차가 크게 좁혀져 4월에는 5개 업체 혼전 [분석2] C,D,E사는 상승, A,B 사는 정체 상황 [분석3] 2005년 1/4 분기 성장속도는 E>D>C사임 |  |
|
 | |  | [과제1] 업계 전체가 비슷한 트래픽 수준을 나타낼 정도 로 소비자의 관심도가 커진 시기에 핵심 제품과 관련된 프로모션을 통해 매출 증대 활동 강화 [과제2] 성장속도가 빠른 C, E, D사의 마케팅 활동 집중 모니터링 [과제3] 특히, C사의 경우, 급등/급락 원인 분석 (사이트 리뉴얼/리뉴얼 후 이벤트 핵심요인) |  |
|
|
|
|
 |
| 트래픽 지표의 중 사이트 전체 페이지의 열람 횟수를 의미하는 페이지뷰(PV), 순방문자수(UV), 시간당 방문자수 (SV) 등이 대표적인 지표이다. 이들의 증감을 통해 당면 마케팅 활동을 양/질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경쟁사의 활동 역시 양적인 증감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명료한 마케팅/ 웹 정책을 수립할 수 있다.
|  | → 방문 횟수 증감을 통한 이벤트/프로모션 평가 → 방문자 특성/질 평가 및 경쟁사 방문자 특성 → 광고 집행시, 매체 활용도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 |
|  | |  | [분석1] A사의 평균 트래픽이 높음. (순방문자수와 시간당 방문자수 일정) [분석2] 3월3주까지는 비슷한 수준의 트래픽을 보이나, 그 이후에 B사의 트래픽이 현저하게 감소 [분석3] A사의 ‘1인당 페이지뷰’는 11pv로 B사의 7pv에 비해 약 36%높음. |  |
|
 | |  | [A사의 경우] B사보다 높지만 방문자수는 정체 상황임 → 방문자 관리 Process 재기획 로열티 높은 고객의 높은 기대 수위에 맞는 컨텐츠 필요 → 추가확장을 위한 매체기획(제휴광고) [B사의 경우] 자체 트래픽 감소 원인 규명 → 방문자 관리 Process 재기획 회원 로열티 감소에 대한 대책 수립 → 핵심 컨텐츠 경쟁력 점검 3월3주 이후의 A사의 마케팅 활동 및 고객 관리 활동 집중 모니터링 → A사의 3월 마케팅 활동 벤치 마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