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을 이해한다는거는 당연히 중요하긴 하다.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는 물론이고 음악에서도 어느정도는 중요하지 않을까?
문교정책 12년의 결과로 몇개의 단어나 문장을 들을수 있는 팝,
드라마의 대사는 들리긴 하나 노래가사는 당췌 귀에 잘 안들어오는 JPOP
그리고 귀에 쏙쏙 들어오느 가요.
음악은 멜로디나 분위기로 많이 듣는 편이긴 한데
그래도 역시 귀에 들리는 가사 임에도 눈으로 그 가사를 보면 참 더 맘에 와 닿는게 있다.
그래서 어쩌면 말보다 글로 쓰는 편지가 더 효과적일수도 있겠지.
물론 주관적인 해석이 들어가서 오해를 불러일으킬수도 있지만...
그런데 같은 나라 말을 쓰면서도 사람과의 관계에서 말을 들으면서도 그 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하물며 마음을 이해한다는것은 어쩌면 어려운게 당연한지도 모르겠다.
기다리다 - 윤하
어쩌다 그댈 사랑하게 된거죠 어떻게 이렇게 아플 수 있죠
한 번 누구도 이처럼 원한 적 없죠
그립다고 천 번쯤 말해보면 닿을까요
울어보고 떼쓰면 그댄 내 맘 알까요
그 이름 만 번쯤 미워해 볼까요
서운한 일들만 손꼽을까요
이미 사랑은 너무 커져 있는데
그댄 내가 아니니 내 맘 같을 수 없겠죠
그래요 내가 더 많이 좋아한 거죠
아홉 번 내 마음 다쳐도 한 번 웃는 게 좋아
그대 곁이면 행복한 나라서 싫은 표정 한 번 조차도 편히 지은 적 없죠
그대 말이면 뭐든 다 할 듯 했었죠
천 년 같은 긴 기다림도 그댈 보는 게 좋아
하루 한 달을 그렇게 일 년을 오지 않을 그댈 알면서
또 하염없이 뒤척이며 기다리다 기다리다 잠들죠
나 언제쯤 그댈 편하게 볼까요 언제쯤 이 욕심 다 버릴까요
그대 모든 게 알고 싶은 나인데
언제부터 내 안에 숨은 듯이 살았나요
꺼낼 수 조차 없는 깊은 가시가 되어
아홉 번 내 마음 다쳐도 한 번 웃는 게 좋아
그대 곁이면 행복한 나라서 싫은 표정 한 번 조차도 편히 지은 적 없죠
그대 말이면 뭐든 다 할 듯 했었죠
천 년 같은 긴 기다림도 그댈 보는 게 좋아
하루 한 달을 그렇게 일 년을 오지 않을 그댈 알면서
또 하염없이 뒤척이며 기다리다 기다리다 잠들죠
<간주중>
그댈 위해 아끼고 싶어 누구도 줄 수 없죠
나는 그대만 그대가 아니면 혼자인 게 더 편한 나라
또 어제처럼 이 곳에서 기다리고 기다리는 나예요
내 맘이 안 그래 - 이승환
그 흔하디 흔한 행복하라는 착한 작별인사를 해 주기엔
내 맘이 안 그래 그 때 난 무섭고 또 네가 미웠어
청춘을 허비했다는생각이 말로 되는 건
그 시간동안 너무도 서롤 알아왔던 탓
차라리 모든게 거짓말이라면
모자란 사랑이 내 몫이 아니라면
내 헌신이 내 진심이 너에겐 불편했구나
헌신이 진심이 너에겐.
<간주중>
미안하단 말 듣는거 싫은거 알아
함부로 억지로 그러지 않아 근데 내 맘이 안 그래
어쨌든 고맙고 또 고마웠으니
추억으로 가장한 벅찬 시간속의 우리
떨치지 못하는 어쩔 수 없는 나란 사람
못 다한 내 사랑에 보낸다
I loved you 치밀어 오르는 내 슬픔에 바친다
내 눈물이 내 노래가 너에겐 곧 나였다
I loved you I loved you
I loved you
I loved you I loved you
I loved you
못 다한 내 사랑에
(You were my hunger)
치밀어 오르는 내 슬픔에 바친다
내 눈물이 내 노래가 너에겐 곧 나였다
I loved you I loved you
I loved you
그래도 내 맘이 안 그래
I love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