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2025  이전 다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공략] 위닝 일레븐 8 : 파트 2 (PS2)

 

2부 공략에 앞서

“에, 전국의 4천만 위닝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은 위닝 공략 파트2, 필자대 위닝의 그 두 번째 메뉴얼을 중계 해드리겠습니다. 해설에 게임샷입니다. 게임샷님 안녕하세요. 오늘 공략을 어떻게 보십니까?” , “네 뭐 이번엔 마스터리그 및 에디트 공략인데 말이죠 뭐 많은 도움이 되리라 보고 있는데 말이죠,”, “아 말씀드린 순간 메뉴얼 입장입니다!”

1.마스터리그란?

마스터리그는 자신만의 팀을 운영하는 일종의 구단경영게임이다. 즉 유저는 자신이 원하는 선수를 영입하거나 이적시킬 수 있으며, 선수에 맞는 포메이션을 구성하여 각종 리그 및 대회에 참여함으로써 우승 및 클럽 팀의 위상을 높이고, 원할 경우 자신의 팀으로 다른 사람과 시합을 할 수도 있다.

위닝 마스터리그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유저가 운영할 팀이 2부리그 격인 D2부터 시작된다는 것인데, D2리그에서 우승 혹은 2위가 됐을 경우 D1인 1부리그로 승격하게 된다는 점과 이번 8탄에 추가된 성장 및 능력치 감소 시스템으로 인한 어려움이 있을 터이니(물론 일본어의 압박도) 지금부터 차근차근 살펴보도록 하겠다.

 

이런 순간을 만끽해보고 싶지 않은신가?

(1) 마스터리그를 시작해보자

먼저 모드 셀렉트 화면에서 마스터 리그를 고르게 되면 신규로 할 것인지 기존에 세이브 된 데이터를 불러올 지를 선택하게 된다. 신규 스타트를 고르게 되면 플레이어 설정 화면이 나오고, 플레이 설정화면 후에는 마스터리그 환경이 나오게 된다.

환경은 차례대로 ML초기화포인트, 시합시간, 게임레벨, 그룹명칭, 오토세이브 설정, 유니폼셀렉트, 볼타잎, 볼이펙트를 고를 수 있다. 여기서 난이도의 경우엔 반드시 프리시즌, 즉 시즌이 모두 끝난 후에만 가능하니 평소에 안나온다고 해서 난이도를 바꿀수 없다고 낙심하지 말자.

환경까지 다 설정했다면 이번엔 마스터리그 스타트 방식에 대해 묻는 것이 나오는데 윗부터 マスダ-リ-グメンバ-(마스터리그 멤버. 일명 코나미맨들로 불리우며 가상의 선수들로 능력치가 매우 균형? 잡혀 있어 초반에 고전을 하게된다), マッチモ-ドメンバ-(매치모드멤버), オリジナルチ-ム作成(오리지날팀작성)으로 나뉘게 된다.

마스터리그 멤버를 고르게 되면 먼저 팀을 고르게 되는데, 주의할 것은 이때 고른 팀은 이름과 구장과 기타 외적인 것만 선택이 되며 멤버들은 고스란히 자유계약 선수가 된다는 것이다. 즉, 유명한 클럽을 선택하게 되면 그 팀의 멤버들이 싸그리 자유계약 선수가 되기 때문에 주의하길 바란다.

 

어떤 스타트 방식을 골라볼까?

 

마스터리그 환경 설정 화면

또한 매치모드 멤버는 말 그대로 실제 팀 멤버 그대로를 마스터리그 팀으로 사용하게 되며, 오리지날 팀 작성은 팀을 아예 새롭게 만들되 멤버는 코나미맨을 유지하고 대신 코나미맨 3명까지 해고하여 남은 포인트로 그 포인트에 맞는 선수들을 3명까지 영입할 수 있다.

 

원하지 않는 멤버를 해고하자.

 

한국 선수들은 대체로 가격대 성능이 좋다.

(2) 마스터리그 룰

① 게임오버 조건

소유한 포인트(이 포인트로 선수들 연봉을 주게 된다) 가 마이너스가 되거나, 클럽 내 선수가 15명 이하가 되면 게임오버가 되는 것에 유의하자. 특히 소유 포인트에 대해 언급하자면 시합을 통해 벌 수 있으며, 골랭킹에서 1위를 하거나 mvp, 혹은 마스터리그 순위에 따라 지급되기도 하는데, 이 포인트로(돈이라고 생각하면 이해가 쉽다) 마지막 44주에 선수연봉을 모두 일괄지불하기 때문에 만약 보유 포인트가 10000pt고, 선수 총 연봉의 합이 12000인 채로 44주가 될 경우엔 그대로 게임오버가 되는 것이다.

② 승격 및 강등에 대해

서두에 언급했지만 마스터 리그는 엄연히 1부리그와 2부리그가 존재하여 D1과 D2로 나뉘게 되는데 D2에서 1,2위팀만이 D1으로 승격이 되며, D1에서 최하위 두 팀은 D2로 떨어지게 된다. D1리그로 승격 혹은 잔류를 해야 시합당 포인트도 많이 벌 수 있지만 일단 게임수도 많고 클럽의 전체 랭킹이나 선수와의 교섭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연봉보다 소지 포인트가 적을 경우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언제나 1등만이 기억된다.

③ WEFA 랭킹에 대해

WEFA는 랭킹은 마스터 리그에 참가하는 전 클럽팀의 랭킹을 나타내는 것으로 객관적인 자료에 의거하여 어떤 팀이 가장 강한 팀인가를 나타내는 순위지표이다. 리그와 대회의 결과에 의해 각 팀에 포인트가 가산되며, 대회에 따라 그리고 팀간의 실력차와 리그 랭크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8년간의 데이터가 누적되기 때문에, 팀을 상위권으로 올리려면 꽤나 롱런을 해야 한다.

랭킹은 년간 8주, 16주 28주 36주에 4번 발표되며 WEFA는 ‘Winning Eleven Football Association’ 의 약자다.

1년만에 거의 30~40계단이 올라간 토튼햄 핫스퍼

④ WEFA 챔피언쉽

WEFA チャンピオンシップ(WEFA 챔피언쉽) 은 실제 유럽리그의 챔피언스 리그격의 대회로 세계최고의 클럽 선수권 대회이다. 이 대회에 출장하기 위해 모든 팀들이 그렇게 열불나게 실력을 키우는 것이며, 이 대회에서 우승한 클럽이 그 해 최고의 클럽에 오른다는 의미가 있다는 것이다. 예선그룹리그부터 퍼스트 라운드로, 다시 여기서 리그의 상위 2팀이 세컨 라운드에 진출하게 된다. 출장자격은 D1리그 3~6위가 예선리그부터 출장하게 되며, D1리그 1~2위는 예선을 거칠 필요가 없이 퍼스트 라운드부터 출장하게 된다.

⑤ WEFA 마스터스컵

챔피언쉽 다음으로 큰 대회로 WEFA マスタズカップ(WEFA 마스터스컵)은 전년도의 리그 컵 우승팀과 챔피언쉽 출장을 할 수 있는 커트라인 바로 아래팀부터 16팀이 넉아웃 방식으로 싸우는 대회이다. 출장자격은 다음과 같다.

D1컵대회 우승(챔피언쉽 진출자격이 주어졌다면 챔피어쉽 진출이 우선시된다)

WEFA 챔피언쉽 예선리그 3위, 퍼스트 라운드 3,4위 (즉 챔피언쉽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지 못한 팀들끼리 모여서 벌이게 되는 것이다)

 

챔피언쉽 토너먼트표

 

마스터스컵 토너먼트표

참고로 D1,D2컵은 같은 디비젼 내의 팀들끼리 벌이는 토너먼트(홈&어웨이)형식의 컵대회다.

(3) 마스터 리그에서 취득하는 포인트

게임오버가 되지 않으려면 좌우지간 많이 이기는 수 밖에 없다. 가능하면 모든 시합을 승리로 이끌어야 하며 그럴 경우 거의 2시즌부터는 원하는 선수를 영입할 정도의 돈이 되고, 3시즌부터는 돈을 주체할 수가 없어 고액의 에디트 선수를 영입할 수 있는 지경까지 이른다.(에디트 선수를 영입하는 다른 선수를 검색하는 것처럼 에디트 선수를 만든 뒤 검색하여 영입하면 되며, 능력치에 따라 연봉이 다르며 최고 5000까지 있다).

아래는 마스터 리그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포인트의 획득 유형과 액수이다.

게임 후 포인트 취득 장면

2. 마스터리그 메뉴설명

먼저 전체일정과 기준이 D1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음을 명시하는 바이다. 하지만 전체적인 메뉴구성은 동일하며, 전반적인 일정이나 시합 외적인(D1,D2컵이나 마스터스컵등)의 구분만이 있으니 메뉴를 잘 숙지하도록 하자. 어차피 계속 볼 녀석들 아니던가.

(1) 次週ヘ

다음주로 진행한다.

(2) ロッカ-ル-ム [락커룸]

① 對戰相手情報 (대전상대정보)

상대팀의 정보를 본다.

Wn13 : 마스터리그 메뉴화면

Wn14 : 상대팀과의 전력 비교화면

② 試合分析(시합분석)

자신의 시합내용을 데이터로 분석하는 메뉴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대로 シュ-ト狀況(슛상황), オフェンスパタ-ン(오펜스패턴), ディフェンスパタ-ン(디펜스패턴)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중 패턴에 대해 잠시 넘어가자면, 오펜스 패턴은 맨 위가 パス成功率(패스성공률), 그 밑에 シュ-トエリア(슛이 이뤄진 위치) 3번째가 シュ-トパタ-ン(슛패턴-차례대로 전 슈팅수, 슛결정률, 골대안으로 향한 확률, 페널티 에이리어 안에서의 슛확률, 헤딩슛 확률), 마지막이 得點時間帶(득점시간대)니 참고하셔서 자신의 공격패턴을 살펴보시길 바란다.

디펜스 패턴은 맨 위가 시합당 경고의 횟수 그 바로 밑에 시합당 파울수이며 나머지 메뉴는 공격패턴의 그것과 같으며 수비진이 허용한 상대방의 공격패턴을 말해준다.

 

오펜스 패턴

 

디펜스 패턴

③ フォ-メ-ション [포메이션]

자신의 팀의 포메이션을 변경한다. 이 곳에서 변경 된 포메이션은 따로 저장하지 않아도 적용되니 디폴트로 사용할 포메이션을 만들도록 한다(이와는 반대로 시합내에서 바꾼 포메이션은 전체 포메이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DATA

전체 시합진행 캘린더나 리그, 컵, 랭킹등을 살펴볼 수 있는 항목이다. 아래와 같이 구분되어 있다.

① カレンダ [캘린더]

1시즌의 시합스케쥴을 요약하여 볼 수 있으며, 아래와 같이 짜여져 있다(참고로 컵대회 및 챔피언쉽리그에 진출했을 때를 가정한 스케쥴이다) 보고 싶은 일정을 선택한 뒤 방향키를 위 아래로 내려 전반기, 후반기를 골라주면 해당 날짜의 시합정보를 볼 수 있다.

캘린더 화면

② リ-グ戰情報 (리그대회 정보)

리그와 컵에 대해 모호하신 분이 계실까 부연설명을 하자면 컵은 일종의 토너먼트 방식과 같이 단판 혹은 홈&어웨이 방식으로 게임을 펼쳐 이긴 팀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제도라면 리그는 해당 리그에 구성된 팀들이 모두 홈&어웨이로 시합을 펼쳐 승점(승리 3점, 무승부 1점)을 비교하여 순위를 다투는 방식이다. 하여간 이 메뉴에선 현재 D1리그(혹은 D2리그)의 順位表(순위표), チ-ム情報(팀정보), ゴ-ル, アシストランキング(골,어시스트랭킹) 등을 살펴볼 수 있다.

 

팀정보

 

골&어시스트 랭킹

③ カップ戰情報(컵 대회 정보)

D1컵이나 챔피온쉽 , 마스터스 컵에 대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메뉴이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順位表 對戰表(순위표 대전표)나 마찬가지로 팀정보와 골랭킹등을 볼 수 있다.

④ WEFAランキング(WEFA 랭킹)

총 72개팀으로 구성된 마스터리그에서 자신의 클럽의 랭킹을 알 수 있다. 랭킹은 WEFA에서 정해진 포인트가 가산되어 8주,16주,28주,36주마다 발표되며 좋은 성적을 거둘수록 당연한 이야기지만 점차 포인트가 올라가게 된다. 환언하자면 랭킹 1위팀을 이긴다고 해서 한번에 1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 포인트에 따른 (리그 우승등의) 누적계산이다.

⑤ 記錄室(기록실)

통산기록이나 평점랭킹등을 보는 메뉴로, 위에서부터 通算 ゴ-ル, アシストランキング(통산 골랭킹 어시스트 랭킹), 評価点ランキング(평가점랭킹) ,マイベストイレブン(마이베스트일레븐), シ-ズン結果 에 대한 정보가 있다.

 

골&어시스트 랭킹

 

마이 베스트 일레븐

 

포워드 평점 1위 앙리

 

시즌 결과. 필자가 달성한 트리플 크라운!

(4) 交涉 [교섭]

어쩌면 마스터리그를 하는 원동력으로 이 교섭메뉴를 꼽을수 가 있는데 자신이 원하는 선수들을 영입하거나 다른 팀으로 이적시켜 자금을 마련하고 여러 선수들에 대하여 ‘WISH LIST’ 를 만드는 등 팀에 대한 감독만의 선수 구상이 가능하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뜨게 된다.

① 檢索 (검색)

선수를 찾는 명령이다. 검색 메뉴안엔 다시 세부메뉴가 있는데, 표를 참고하자.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밑의 표는 탤런트 검색에 따른 일어번역이다. 역시 참고하여 쉽게 검색에 이용하시도록.

 

이지검색화면

 

조건검색화면

 

포지션을 선택하자.

 

팀에서 직접 찾는 방법도 있다.

② リスト

리스트업 시킨 선수들에 대하여 살펴볼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팁을 알려드린다면 검색이

나 리스트를 통해 나열된 선수들을 일정한 key를 통해 정렬이 가능한데, 네모버튼을 누르

게 되면 아래와 같은 항목이 뜨게 되니, 원하는 순으로 정렬하다록 하자.

名前順える 이름순으로 정렬한다.

ポジションごとに 竝べ替える 포지션으로 순으로 정렬한다.

國籍ごとに える 국적순으로 정렬한다.

-ムごとに 竝べ替える 팀순으로 정렬한다.

身長順にソ-ト 신장순으로 정렬한다.

年齡順にソ-ト 나이순으로 정렬한다.

能力値順にソ-ト 능력치순으로 정렬한다.

年俸順にソ-ト 연봉순으로 정렬한다.

契約年數順にソ-남은 계약연수순으로 정렬한다.

필자리스트

④收支豫測(수지예측)

이적교섭을 신청하거나 이적이 들어온 선수에 대한 수지예측을 할 수 있는 메뉴이다. 전반적으로 현재 소유포인트와 이적등이 행해진 뒤의 포인트계산을 통해 이적 후의 클럽운영에 대해 살펴볼 수 있다.

⑤市場情報(시장정보)

팀별로(하이라이트 되어 있다)이적정보 등을 볼 수 있다.

 

수지예측

 

시장정보

(5) チ-ムトレニング [팀 트레이닝]

시즌 중에는 컨디션 조정으로 나오게 되지만 시즌이 끝난 프리시즌 기간에는 팀 트레이닝을 통해 선수 능력치를 올리거나 떨어진 능력치를 다시 회복 할 수 있다. 이 메뉴를 선택하면 먼저 트레이닝을 チ-ム(팀)으로 할건지 個人(개인)으로 할건지를 정할 수 있는데, 팀과 개인에 따라 연습할 수 있는 메뉴가 다르며, 팀을 골랐을 경우 해당 연습에 참가할 복수명을 고르게 되는 차이가 있으며 능력치 성장의 주체도 다르다. 화면상의 OK사인이 날 때까지 열심히(?) 연습을 하면 되는데,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란다.

한번 트레이닝을 한 선수는 그 주에 같은 트레이닝을 하게 되면 능력치 상승이 없으나 거의 트레이닝 항목에 따라 올라가는 수치가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모든 트레이닝을 한번 씩 하며 열심히 노가다를 해야 좋은 선수로 기를 수 있다(개인, 팀 연습에 모두 뛰게 해주다 보면 대략 30분이 흘러간다)

 

트레이닝 선택 화면

 

훈련할 멤버를 선택해주자.

(6) 成長シ-ト [성장 시트]

선수가 팀에 들어와서 지금까지 능력치의 성장/감소 를 확인하는 메뉴로 각 선수마다 설정된 성장 그래프를 볼 수도 있다. 일단 선수를 선택하게 되면 그래프상의 현재 위치가 나오게 되고(나이를 의미한다) R1버튼을 누르면 해당 그래프 구역이 확대가 된다.

그래프를 보는 요령은 먼저 기울기가 올라가는 곳의 현재 위치가 있다면 선수능력치가 아직 성장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마치 미분의 그것과 같이 기울기가 클수록 선수가 더욱 급격한 성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현재 그래프가 급격하게 높아지고 있다면 시합과 훈련을 통해 많은 성장을 꾀할 수 있다는 것이요, 완만한 상승곡선은 완만한 성장은 하락중인 그래프에 현재가 와있다면 선수의 능력치가 쇠퇴하게 된다.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R1버튼으로 그래프를 확대하면 선수가 어느 정도 나이부터 쇠퇴기에 들어가는게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전에 선수를 파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색상의 구분이 있는데 빨간색은 선수의 정상 성장 곡선이며, 파란색은 실제 선수의 성장곡선을 의미하기 때문에 만약 원래의 성장곡선보다 파란색이 위로 가 있으면 보다 잘 키웠다는 의미가 되며, 밑으로 가 있다면 정상 성장보다 더디다는 의미다.

 

잘 키운 카르도소 열 딩요 안부럽다.

 

잘못 키운 못난 필자가 바보로다.

(7) チ-ムエディット [팀 에디트]

팀에 대한 설정을 바꿀 수 있으며 프리시즌에만 가능하다. 메뉴를 고르게 되면 첫번째가 등번호 변경이요, 다음이 팀 에디트니 에디트 매뉴얼을 참고하여 원하는 팀으로 꾸며보시기 바란다.

(8) 環境設定 [환경설정]

마스터리그 환경에 대한 옵션메뉴로 차례대로 ML초기화포인트, 시합시간, 게임레벨, 그룹명칭, 오토세이브 설정, 유니폼셀렉트, 볼타잎, 볼이펙트를 고를 수 있다. 여기서 난이도의 경우엔 반드시 프리시즌, 즉 시즌이 모두 끝난 후에만 가능하니 평소에 안나온다고 해서 난이도를 바꿀수 없다고 역시 낙심하지 말지어다.

(9) モ-ドセレクトへ 環境設定 [모드셀렉트로]

모드 셀렉트 화면으로 돌아간다. 게임을 빠져나가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며, 의외로 세이브 하는 방법을 모르시는 분들이 있어 추가 설명하자면 네모버튼을 눌러 파일 세이브 화면으로 들어간 뒤 슬롯을 고르면 된다.

 

3. 선수 영입 및 이적

지금까지의 매뉴얼을 통해 검색을 하는 요령을 알았다면 검색 후 명령에 대해 살펴보자. 일단 선수가 검색되어 리스트업되면 선수들의 능력치를 볼 수 있는데, 이 때 O버튼을 누르면 移籍交涉を申し込む(이적교섭을 신청한다), 선수가 클럽팀에 속해 있다면 レンタル移籍を申し込む(임대교섭을 신청한다), 比較對象になる(비교대상으로 설정한다)을 고를 수 있고 공통적으로 リストに加える(리스트에 추가한다)는 메뉴가 있다. 이중 비교대상은 말 그대로 내가 선택한 선수를 비교대상으로 설정한 뒤에 다른 선수를 보게 되면 비교대상과의 능력치 우위가 나오게 된다.

 

이적명령화면

 

선수 비교 화면

리스트에 추가한다는 의미는 내가 언제든지 영입하고 싶은 선수들을 저장할 ‘WISH LIST’ 에 추가한다는 뜻이다. 따로 검색하지 않고 해당 선수만 일단 저장했다가 나중에 영입하거나 리스트내의 선수끼리 비교를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선수를 영입하거나 트레이드 하기 위해선 해당 과정을 거쳐야만 한다. 먼저 선수에게 선택하고 이적교섭을 신청하면 契約年數(계약연수)와 移籍(이적)자금, 年俸(연봉)등을 설정해야 하는데 계약연수는 5년까지 있으며 선수의 몸값에 따라 이적자금과 연봉등이 나타나게 된다. 원활한 교섭을 위해 초기 이적자금보다 10%이상 올려주는 것이 좋으며 연봉도 약간 올려주는 것이 좋다.

어쨌건 준비가 되었다면 申し込む(신청한다)를 선택한다. 이적을 선택한 선수는 이름옆에 ▶가 뜨게 될 것이다. 取り消し(취소)는 제의를 취소하고 싶을 때 신청하며 일단 이적교섭에 들어간 선수도 그 주가 지나지 않았다면 다시 선수를 선택하여 ~調整을 골라 취소를 눌러주면 된다.

 

트레이드화면

 

미소속선수의 영입

트레이드는 이적교섭신청과 비슷하지만 우리팀의 선수를 고르는 과정이 추가된다. 즉 앙리를 데려오고 싶은데 우리 팀의 쉐브첸코를 내주고 싶다면 검색을 통해 앙리를 고른 뒤 트레이드 명령을 고르게 되면 우리 팀 선수명단이 나오고, 여기서 쉐브첸코를 고르면 자동적으로 선수의 몸값이 계산되어 추가될 이적료등이 표시되며, 나머지는 이적과 같다. 일반적으로 트레이드는 몸값이 비슷한 선수까리 잘되며, 상대방이 부족한 포지션위주로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반대로 나이가 많은 선수를 이적시키기 어렵다.

선수를 팔고 싶다면 전작과 다르게 직접 해당 선수를 이적명단에 올려야만 한다. 교섭메뉴안의 マイチ-ム (마이팀)을 고른 뒤 이적시킬 선수를 선택하고 2번째 메뉴인 移籍候補にする(이적후보로 올린다)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그 뒤는 컴퓨터가 오퍼를 넣어주길 기다려야 하는데, 이번 작품은 이적빈도설정이 없는 대신에 어느 정도 능력치가 되는 선수라면 CPU가 잘 사가기 때문에 트레이드가 어려운 노장 선수들은 이런 식으로 이적을 시켜 포인트를 버는 방법도 있다. 여기서 한가지 주의할 점은 일단 영입타진이 왔더라도 디폴트론 팔지 않는다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반드시 이적시킬 선수를 선택한뒤 応じる(응한다)를 골라야 한다는 점이다. 제대로 커맨드를 골랐는지 확인해보고 싶다면 수지예측 메뉴에서 들어오는 돈에 대하여 확인해보면 된다.

 

영입결과

 

이적명단에 올라간 아드리아누

또한 이적메뉴에서 한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선수를 고른 뒤 첫번째 放出する(방출한다)를

선택하게 되는 것인데 계약기간 내 방출을 하게 되면 위약금을 물게 되니 주의할 것.(다만

마지막 44주차에 포인트 지급이 어려울 경우 방출금액이 연봉보다 쌀 경우 방출하여 게임

오버가 안된다면 하는 것도 괜찮다)

* TIP&TIP 이적 난이도를 살펴보자

작은 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일단 마스터리그 난이도가 별 4개 이하라면 선수를 검색하여 명단을 살펴볼 때 십자키를 좌우를 누르게 되면 선수 영입 난이도가 뜨게 된다. 별이 많을수록 영입이 어려우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만약 자신의 난이도가 5개 이상이었다 하더라도 오프시즌엔 변경이 가능하니 이를 이용해 영입 시에만 살짝 살펴보고 다시 시즌이 시작되기 전에 난이도를 바꿔주면 된다.

그리고 이적료를 물지 않아도 되는 아무 클럽에도 속하지 않는 미소속 선수가 있는데 연봉만으로 계약이 되니 가끔식 검색하다보면 월척을

'방구석 상자 > 스크랩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내공을 키웁시다 ^^  (4) 2004.08.24
위닝 일레븐 8 : 파트 1  (0) 2004.08.23
여자들 홈피엔 이런게 꼭 있다  (0) 2004.08.21
Posted by 라면한그릇
|